푸루스사우루스가 살던 마이오세
oreo
0
3
6시간전
푸루스사우루스가 살던 마이오세
푸루스사우루스가 살던 마이오세의 브라질은 먹이가 무척 풍부한 환경이었습니다. 오늘날 아프리카 대초원의 동물과 비슷한 크기의 동물들이 살았죠. 그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거북, 돌고래, 어류, 악어 등이 즐비한 신생대 역사상 가장 복잡한 생태계 중 하나였다 합니다.Deinosuchus나중에 등장한미란다이P. mirandai와브라실리엔시스P. brasiliensis가 있습니다.여기까지 공룡보다 무서웠던 슈퍼 악어 몇 종을 살펴봤습니다.바로 얼룩말이나 가젤 대신 공룡을 사냥했던 슈퍼 악어들입니다.푸루스사우루스속에도 3종이 있었는데, 가장 오래전에 살았던네이벤시스P. neivensis,재밌게도 이들이 살던 시기에는 녀석과 동체급의 육식 공룡이 없었습니다. *인터넷에 티라노를 먹던 악어라 해서 이런 사진이 돌아다니는데, 이들은 티라노와 공존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가까운 친척과 공존했을 뿐이죠.스피노사우루스와 같이 예외적인 케이스를 제외하면... 하천의 지배자는 따로 있었습니다.푸루스사우루스 역시 엄청난 무는 힘을 지니고 있었는데요. 1.5m에 달하는 거대하고 뭉툭한 두개골에는 많은 양의 근육이 붙어 있었으며, 덕분에 69,000N이라는 경이로운 치악력을 낼 수 있었습니다.데이노수쿠스재밌게도 녀석의 주둥이는 현생 악어의 한 종류인 가비알과 유사한데, 어디까지나 그 모양만 비슷할 뿐 가비알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또한 작은 물고기 사냥에 최적화된 가비알과 달리 이들은 거대한 어류부터 여러 조각류 초식공룡, 심지어는 수각류까지 폭넓은 선호 식단을 자랑했습니다.비록 예전 추정치에 비하면 크기들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녀석들은 여전히 역사상 가장 큰 악어이며 슈퍼 악어라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입니다. 참고로 본 글에는 등장하지 못했지만, 람포수쿠스, 모우라수쿠스, 마키모사우루스 등 다른 초대형 악어형류 역시 당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습니다.경쟁자 없이 생태계의 정점 포식자 역할을 하던 이들은 조각류 공룡부터 거북까지 다양한 먹이를 가리지 않고 사냥했습니다.데이노수쿠스가 살던 시기 북아메리카는 지금과 같은 모습이 아니었는데, 서부내륙해에 의해 대륙이 2개로 나눠져 독자적인 생태계를 형성했습니다. 그중 동쪽의 대륙을 애팔래치아, 서쪽의 대륙을 라라미디아라 부르죠. 각종 유도선과 구분선이 그려져 복잡한 모습의 제주시 광양사거리. ⓒ제주의소리 '빠~아~앙' 신경질적인 경적이 끊이질 않는 제주시 광양사거리. 서광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고급화 사업이 진행된 이곳에서는 뒤죽박죽 유도선으로 인한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제주도가 "초기 혼란에서 벗어나 흐름이 원활해지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힌 것과 달리현장은 여전히 혼란의 연속이었다. 특히 각종 유도선이 그려진 광양사거리는 심각했다.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중앙로와 서광로를 잇는 지점인 광양사거리에 그려진 유도선은 분홍, 초록, 파랑, 하양 등 형형색색이다. 중앙선까지 포함하면 5가지 색깔이다.문제는 차로의 명확한 안내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유도선이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 심지어 이해할 수 없는 차로 구분선도 그려져 있는 상황이다.중앙로(제주시청)에서 서광로(탐라장애인종합복지관)로 좌회전할 경우 운전자가 마주하는 유도선은 중앙선을 구분하는 흰색 점선과 차로를 안내하는 분홍, 연두 유도선 등 모두 3가지다.평소처럼 흰색 점선을 따라가거나 분홍 유도선을 따라 이동할 경우 곧바로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진입하게 된다. 오직 연두 유도선을 따라가야 일반 차선으로 안전하게 합류할 수 있다.그러나 개통 열흘이 지난 20일, 취재기자가 해당 구간을 수 분간 지켜본 결과 정해진 유도선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수두룩했다. 흰색 점선, 분홍-초록 유도선 등 저마다 이용하는 유도선이 제각각이었다. 특히 흰색 점선과 분홍 유도선을 따라간 차량들은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진입한 뒤 급하게 차선을 바꾸는 모습을 보였다. 약속된 유도선을 지킨 차량과 그렇지 않은 차량이 같은 차로를 향하면서 뒤따르는 운전자들이 헷갈릴 법했다. 중앙로(제주시청)에서 서광로(탐라장애인복지관) 방향으로 좌회전 하는 차량들이 정해진 연두색 유도선을 지키지 않고 제각각 이동 중인 모습.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진입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제주의소리 동광로(보훈회관)에서 중앙로(제주시청) 방향으로
푸루스사우루스가 살던 마이오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