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무, ‘사거리 300㎞’ 지대지 미사일발사

작심스터디카페

천무, ‘사거리 300㎞’ 지대지 미사일발사

sans339 0 5
천무, ‘사거리 300㎞’ 지대지 미사일발사 차량 1문당 ‘12발’의 로켓 탑재천궁, 차륜형 30㎜ 대공포 2문 장착야지서 빠른 기동·1분 1200발 발사현궁, 중거리 보병용 대전차 미사일최대 2.5㎞ 적 전차 ‘파괴’·휴대 가능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6여단이 지난 2024년 6월 26일 백령도에서 ‘천무’ 사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실사격 훈련은 6년10개월 만에 재개한 것이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서울경제] 지난 2024년 6월 26일 서북도서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K9‘ 자주포를 비롯해 다연장로켓 ‘천무’, ‘스파이크’ 미사일 등 290여발을 공해로 발사하는 포사격이 실시됐다. 북한과 가장 밀접한 서북도서를 지키는 최신 무기들이 일제히 화염을 내뿜으며 위용을 과시한 것으로,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로 중단됐던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이 6년 10개월 만에 재개된 것이다. 이후 정례 훈련은 분기별로 진행돼 올해도 2월과 6월에 두 차례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해상사격훈련은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이하 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 주도로 이뤄졌다. 이웃하고 있는 연평도에서도 해병대 연평부대가 동시에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서방사는 해병대사령관이 사령관이 지휘하며,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는 각각 백령도와 연평도에 주둔해 도서 방어 임무를 맡고 있다.이처럼 ‘백령도=해병대’라는 공식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주목할 대목은 서방사 창설 이후 북한의 기습상륙에 대비한 서북도서의 타격력과 방어 역량이 크게 향상됐다는 점이다. 종전에 배치돼 있던 K9 자주포와 ‘구룡’ 다연장로켓 등 보다 위력적인 국산 다연장로켓 ‘천무’와 신형 차륜형 자주대공포 ‘천호’, 신형 대전차 미사일 ‘현궁’ 등 첨단 신무기가 배치된 덕분이다.지난 2023년 6월 서북도서 일대에서 ‘결전태세 확립’ 추진 일환으로 육해공, 해병대 등의 합동 도서방어종합훈련을 실시한 영상에서 이들 신무기 훈련 모습이 공개된 바 있다.K239 ‘천무’ 다연장로켓의 실사격 훈련 모습. 사진=국방홍보원 유튜브신무기 대표 격인 천무는 미사일처럼 정확한 유도로켓을 비롯해 다양한 구경의 다연장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게 강점이다. 최대 사거리 약 300㎞의 지대지(地對地) 미사일도 쏠 수 있다. 천무 탑재 지대지 미사일은 북 ‘장사정포 벙커버스터’인 KTSSM(한국형전술지대지미사일)의 사거리를 180㎞에서 300㎞로 늘린 신형이다.천무가 쏠 수 있는 다연장로켓은 130㎜ 구형 ‘구룡’ 무유도 다연장로켓탄, 230천무, ‘사거리 300㎞’ 지대지 미사일발사 차량 1문당 ‘12발’의 로켓 탑재천궁, 차륜형 30㎜ 대공포 2문 장착야지서 빠른 기동·1분 1200발 발사현궁, 중거리 보병용 대전차 미사일최대 2.5㎞ 적 전차 ‘파괴’·휴대 가능서북도서방위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6여단이 지난 2024년 6월 26일 백령도에서 ‘천무’ 사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실사격 훈련은 6년10개월 만에 재개한 것이다. 사진 제공=해병대사령부[서울경제] 지난 2024년 6월 26일 서북도서 최북단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K9‘ 자주포를 비롯해 다연장로켓 ‘천무’, ‘스파이크’ 미사일 등 290여발을 공해로 발사하는 포사격이 실시됐다. 북한과 가장 밀접한 서북도서를 지키는 최신 무기들이 일제히 화염을 내뿜으며 위용을 과시한 것으로,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로 중단됐던 서북도서 정례 해상사격훈련이 6년 10개월 만에 재개된 것이다. 이후 정례 훈련은 분기별로 진행돼 올해도 2월과 6월에 두 차례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해상사격훈련은 서북도서방위사령부(이하 서방사) 예하 해병대 제6여단 주도로 이뤄졌다. 이웃하고 있는 연평도에서도 해병대 연평부대가 동시에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서방사는 해병대사령관이 사령관이 지휘하며,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는 각각 백령도와 연평도에 주둔해 도서 방어 임무를 맡고 있다.이처럼 ‘백령도=해병대’라는 공식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주목할 대목은 서방사 창설 이후 북한의 기습상륙에 대비한 서북도서의 타격력과 방어 역량이 크게 향상됐다는 점이다. 종전에 배치돼 있던 K9 자주포와 ‘구룡’ 다연장로켓 등 보다 위력적인 국산 다연장로켓 ‘천무’와 신형 차륜형 자주대공포 ‘천호’, 신형 대전차 미사일 ‘현궁’ 등 첨단 신무기가 배치된 덕분이다.지난 2023년 6월 서북도서 일대에서 ‘결전태세 확립’ 추진 일환으로 육해공, 해병대 등의 합동 도서방어종합훈련을 실시한 영상에서 이들 신무기 훈련 모습이 공개된 바 있다.K239 ‘천무’ 다연장로켓의 실사격 훈련 모습. 사진=국방홍보원 유튜브신무기 대표 격인 천무는 미사일처럼 정확한 유도로켓을 비롯해 다양한 구경의 다연장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게 강점이다. 최대 사거리 약 300㎞의 지대지(地對地) 미사일도 쏠 수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