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작심스터디카페

수원역

oreo 0 4
수원역 로데오거리 찾은 이준석 후보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4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 로데오거리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25.5.24 xanadu@yna.co.kr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안채원 기자 =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는 24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를 겨냥해 "국민 앞에서 실수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지어낸 거짓말을 했다"고 비판했다.자신이 전날 TV토론에서 '이재명 후보가 과거에 부정선거론에 동조했다'고 지적한 데 대해 이재명 후보가 내놓은 답변이 거짓이라는 주장이다.이준석 후보는 이날 서울 노량진 고시촌 방문 중에 기자들과 만나 "어제(23일) 토론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이재명 후보가 거짓말을 아주 선명하게 하고 말았다"고 말했다.이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과거에 부정선거를 신봉하고 수개표에 관한 주장을 한 게 명확하지만, 본인은 '국정원의 개입에 대한 것을 부정선거라고 했다'고 (거짓말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이재명 후보를 향해 "거짓말이 일상화돼 있는 후보"라며 "국민께서 거짓말쟁이 후보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아실 것"이라고 덧붙였다.그는 페이스북에 이재명 후보가 지난 2017년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부정선거 관련 발언을 한 대목을 공유한 뒤 "음모론에 경도된 부정선거론자는 자진사퇴 합시다"라고 적었다.노량진 고시촌에서 청년들과 식사를 함께한 이준석 후보는 이날 경기 수원·성남 일대에서 수도권 집중 유세를 벌였다.이 후보는 성남 서현역 유세에서 "(전날 TV토론에서) '2017년 이때쯤 왜 그렇게 부정선거를 외치면서 음모론을 펼쳤느냐' 얘기했더니 그 자리에서 이재명 후보가 새빨간 거짓말을 했다"며 "어떻게 증거가 명명백백한데 국민들 앞에서 거짓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망상 병자' 윤석열 대통령이 간 자리에 거짓말쟁이는 안 된다"고 말했다.이어 "이재명 후보는 알려진 것만 해도 여러 가지 음모론에 심취해 있었다. 부정선거론은 물론이요, 천안함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것도 이재명 후보는 믿지 않는 것 같다"며 "대한민국에서 왼쪽 생각을 하는 사람, 오른쪽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적어도 배척해야 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음모론"이라고[이영일 기자]▲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등 8개 시민사회단체는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네이버, 11번가, 지마켓, 옥션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고래 고기가 판매되고 있다”며 고래고기 온라인 유통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핫핑크돌핀스 지난 22일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고래고기 온라인 유통을 중단하라는 다소 생소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해방물결, 성미산학교 포스트중등, 생명다양성재단, 시셰퍼드 코리아, 정치하는엄마들,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등 8개 시민사회단체는 "네이버, 11번가, 지마켓, 옥션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고래 고기가 판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쿠팡·다음카카오는 최근 판매를 중단했다. ▲ 네이버 스토어에서 쉽게 검색되는 고래 고기들. 수육과 내장 심지어 고래부대찌게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네이버 스토어 이들의 주장이 맞는지 확인하고자 네이버 스토어에 접속해 고래고기를 검색하자 밍크고래 수육, 밍크고래 갈비살, 밍크고래 내장, 밍크고래 살코기, 심지어 고래부대찌게까지 다양한 상품이 줄줄이 검색됐다. 정육점에서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파는 것과 크게 차이가 안 나는 듯 보였다. 고래는 포획과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그런데 보호종이 아닌 고래류가 잡히는 경우 유통이 허용된다는 말이다. 설사 그렇다고 해도 온라인 스토어에서 이렇게 버젓이 판매된다는 말은 유통되는 밍크고래 고기가 많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합법이 아니라 불법으로 잡는 밍크고래가 생각보다 많다는 충분한 의심을 할 수 있다.실제 기자회견에서도 "연간 혼획되는 밍크고래는 60여 마리로 집계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연 120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불법 포획된 고래 사체가 함께 유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자회견에서 유귤 핫핑크돌핀스 활동가는 "정부가 밍크고래의 시중 유통과 판매를 허락하면서 불법 포획과 의도적 혼획이 발생하고 있다.
0 Comments